대한민국의 정상적인 남자라면 군대 2년, 예비군 8년의 의무를 마치고 민방위에 편성됩니다. 민방위는 만 40세까지 하는 것이기 때문에 연차가 몇년이 되었든지와 관계없이 나이가 찰 때까지 해야합니다. 하지만 1~4년차는 4시간 교육이고 이 후 5년차 부터는 2시간 교육이기 때문에 1~4년차인지 5년차인지에 대한 계산은 중요합니다. 그러면 민방위 연차 확인 방법과 계산법에 대해 알아볼까요?
예전에는 민방위 연차를 사이트에서 조회할 수 있었는데요. 민방위가 국민재난안전포털에 편입되면서 더이상 사이트에서 조회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. 그래서 민방위 연차 확인을 하려면 비상소집통지서를 통해서 확인하거나 본인이 속한 동사무소에 전화해서 알아봐야 합니다. 동사무소 연락처는 국민재난안전포털 > 민방위 > 담당부서 연락처 메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만약 동사무소에 전화하기도 귀찮다고 한다면 간단한 민방위 연차 계산 방법을 사용하면 됩니다. “현재 연도 – 본인의 제대연도 – 8년(예비군)“을 하면 계산할 수 있는데요 예로 저는 2006년 제대했기 때문에 2018 – 2006 -8 = 4 로 계산하여 민방위 4년차 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.